지정문화재 1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메인메뉴
쌍계사
도량안내
선원/승가대/율원
템플스테이
종무소
성보박물관
지대방
쌍계사
선교율, 차(茶)와 범패의 근본도량
쌍계총림 쌍계사
쌍계사
쌍계사 기문
쌍계사 시문
역대조사
방장스님
주지스님 인사말
찾아오시는 길
도량안내
선교율, 차(茶)와 범패의 근본도량
쌍계총림 쌍계사
쌍계사 도량
도량안내도
금당
쌍계사 주련
쌍계사 암자
지정문화재
쌍계사 말사
선원/승가대/율원
선교율, 차(茶)와 범패의 근본도량
쌍계총림 쌍계사
금당선원
쌍계사승가대학
율학승가대학원
템플스테이
선교율, 차(茶)와 범패의 근본도량
쌍계총림 쌍계사
템플스테이 안내
프로그램 안내
신청하기
묻고답하기
포토앨범
시설안내
참가후기
동영상
자원봉사신청
종무소
선교율, 차(茶)와 범패의 근본도량
쌍계총림 쌍계사
공지사항
법회
기도안내
행사일정
미디어 속의 쌍계사
성보박물관
선교율, 차(茶)와 범패의 근본도량
쌍계총림 쌍계사
박물관 소개
소장유물정보
지대방
선교율, 차(茶)와 범패의 근본도량
쌍계총림 쌍계사
자유게시판
포토앨범
법문
생활속의 불교
불교자료실
동영상 게시판
격월간 쌍계
도량안내
쌍계사 도량
도량안내도
금당
쌍계사 주련
쌍계사 암자
- 국사암
- 불일암
- 도원암
지정문화재
쌍계사 말사
HOME
도량안내
지정문화재
지정문화재
지정문화재
목록
지정문화재 카테고리
전체
국가문화재
지방문화재
Total 30건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30
국가문화재
진감선사대공탑비(국보 제47호)
진감선사대공탑비(국보 제47호) 신라 정강왕이 진감선사의 높은 도덕과 법력을 앙모하여 대사가 도를 닦은 옥천사를 쌍계사로 고친 뒤 정강왕 2년(887년)에 건립한 것으로 고운 최치원이 비문을 짓고 썼으며 환영스님이 새겼다. 이 탑비는 고운 최치원의 사산비의 하나로 유명하다. 진감선사는 애장왕 5년(804년)에 입당, 흥덕왕 5년(830년)에 귀국, 쌍계사를 창건하고 역대 왕의 존경을 받다가 문성왕 12년(85) 쌍계사에서 77세로 시적하였다. 비의 높이는 3m 63cm, 탑신의 높이는 2m 2cm, 혹은 1m, 귀부와 이수는 화강암이고...
29
국가문화재
진감선사 부도(보물 제380호)
진감선사 부도(보물 제380호) 쌍계사 북쪽 탑봉우리 능선에 위치한 이 탑은 진감선사(眞鑑禪師)의 사리탑으로, 사리를 모시는 탑신(塔身)을 중심으로 아래는 받침부분인 기단(基壇)이고 위는 머리장식부분이다. 기단은 엎어놓은 연꽃무늬가 새겨진 아래받침돌 위에 8각의 가운데받침돌을 올렸다. 그 위로 다시 솟은 연꽃무늬를 새긴 윗받침돌을 올려 대칭적으로 표현하였다. 기단 위에는 두꺼운 괴임돌이 삽입되어 눈에 띄는데 구름무늬가 가득 새겨져있다. 탑신의 몸돌은 밋밋한 8각이다. 지붕은 넓으며 밑면에는 서까래인 듯 ...
28
국가문화재
대웅전(보물 제500호)
대웅전(보물 제500호)1968년 12월 19일 보물 제500호로 지정되었다. 정면 5칸, 측면 4칸이다. 단층 팔작지붕의 다포계(多包系) 건물이다. 쌍계사는 840년(신라 문성왕 2)에 진감선사(眞鑒禪師) 혜소(慧昭)가 개창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본사로, 자연조건에 순응하면서 건물을 배치한 산지(山地) 가람의 대표적 일례이다. 대웅전은 가람의 중심이 되는 전당으로, 큰 힘이 있어서 도력(道力)과 법력(法力)으로 세상을 밝히는 영웅을 모신 전각이라는 뜻으로, 이 사찰의 본전이다. 중앙의 3칸에는 각각 사분합(四分閤)의 빗살문...
27
국가문화재
팔상전 영산회상도(보물 제925호)
팔상전 영산회상도(보물 제925호) 원래 팔상전에 봉안되어 있던 불화로 1688년(숙종 14) 비단바탕에 조성되었으며, 화기에 따르면 당시 古法堂의 영산회탱으로 조성 · 봉안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도상내용을 살펴보면 전체 화면은 3분의 1 가량을 중앙의 본존불이 차지할 정도로 크게 묘사하였고, 그 아래로 협시보살인 문수 · 보현이 시립하고 있다. 그 옆으로부터 계단식으로 각각 사천왕, 4보살, 6제자, 4여래, 6위의 용왕과 대신 등이 있으며, 그 위쪽으로 광배 화염을 따라 20위의 화불들이 배치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좌우...
26
국가문화재
대웅전 삼세불탱(보물 제1364호)
대웅전 삼세불탱(보물 제1364호) 중앙의 석가모니불도를 중심으로 왼쪽에는 약사불도, 오른쪽에는 아미타불도를 배치한 삼세불탱화이다.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 형태로 만들어지는 불화를 말한다. 석가모니불도는 화면 상단 중앙에 큼직하게 본존불을 그린 다음, 좌우 대칭이 되게 문수·보현을 비롯한 8대보살과 제석·범천, 2위의 타방불, 가섭·아난존자를 비롯한 10대제자, 용왕·용녀와 6금강, 2위의 사천왕을 배치하였다. 본존불은 17∼18세기 유행의 전형적인 키 모양의 광배에 악귀를 물리치는 뜻...
25
국가문화재
팔상전 팔상탱(보물 제1365호)
팔상전 팔상탱(보물 제1365호) 석가의 생애를 여덟 장면으로 나누어 묘사한 팔상탱이다. 탱화란 액자나 족자형태로 만들어 법당에 걸 수 있게 만든 불교그림을 말한다. 팔상탱의 여덟 장면은 석가모니가 도솔천에서 코끼리를 타고 사바세계로 내려오는 장면인 도솔래의상, 석가모니가 룸비니공원에서 마야부인의 옆구리를 통해 출생하는 모습을 그린 비람강생상, 태자가 성문 밖의 중생들의 고통을 관찰하고 인생무상을 느끼는 장면의 사문유관상, 부모의 반대를 무릎쓰고 출가하는 장면을 묘사한 유성출가상, 설산(雪山)에서 ...
24
국가문화재
대웅전 목조 삼세불좌상 및 사보살입상(보물 제1378호)
대웅전 목조 삼세불좌상 및 사보살입상(보물 제1378호)하동 쌍계사 대웅전에 모셔져 있는 나무로 만든 삼세불좌상 중 아미타불을 제외한 석가모니불과 약사불, 그리고 일광·월광·관음·세지보살로 추정되는 네 보살입상이다. 중앙에 모셔져 있는 석가모니불은 본존불로서 삼불상 중 가장 크고 건장한 신체에 넓은 무릎을 하여 안정되어 보인다. 육계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 동그스럼해진 머리는 이마 위쪽과 머리 꼭대기에 중앙계주(계珠)와 정상계주가 표현되어 있으며, 둥글넓적한 얼굴에는 근엄한 듯 온화한 미소가 엿보인...
23
국가문화재
쌍계사 괘불(보물 제1695호)
석가모니불을 보신불로 그리고,삼처전심 가운데 염화시중을 나툰 선종 사찰의 괘불이다.원만한 상호와 건장한 체구,훤출한 의습,조화있는 장엄을 갖춘 수작이다.1799년도 삼베에 채색한 작품이며,높이 14미터 폭6.7미터에 달하는 현존 최대의 괘불이다.쌍계사 보살계 회향하는 날(음 3.7)에 하루만 바깥으로 나가서 괘불대에 걸린다.스님들 20여명이 이운해서 거는 모습은 장관을 연출한다.
22
국가문화재
쌍계사 감로왕도(보물 제1696호)
쌍계사 감로도는 현재 쌍계사 성보박물관 2층 진열실에 전시되어 있다. 전체적인 상태는 양호한 편이며, 화면 향우측 하단 雙松 위쪽으로 구름에 흰색의 보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쌍계사 감로도는 구름을 경계로 상단에 구름을 타고 강림하는 불·보살군이 있고, 하단에는 아귀와 제단, 召請儀式을 행하는 승려들 그리고 육도제상의 일들이 전개되어 있다. 우선 상단의 불·보살군을 살펴보면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듯한 구름 위에 모두 답할연좌(踏割蓮座)를 밟고 서 있으며, 제단으로 시선이 모아지는 구도를 이...
21
국가문화재
쌍계사 동종(보물 제1701호)
쌍계사 대웅전내에 있던 것을 박물관으로 옮겨 보관중이다. 음통상단에 장식된 연꽃의 가장자리 연판이 부서져 없어진 것을 제외하면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전체적으로 검은 빛을 띠고 있으며, 종견으로부터 차츰 벌어지면서 종복으로부터는 수직으로 내려오는 외형선을 가진 전통형 종이다. 천판을 움켜진 듯한 사족(四足)의 단용(單龍)이 있는데, 음통은 두 줄의 마디선에 의해 3단으로 나뉘어져 있고 맨 상단에는 바깥 화판이 벌어지고 안쪽은 오므라진 연꽃이 장식되어 있다. 역U자형의 단용은 비늘의 표현은...
열린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맨끝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본사 쌍계총림 쌍계사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길 59
종무소 Tel :
055-883-1901
템플사무국 Tel :
010-6399-1901
Fax : 055-883-6084
E-mail : ssanggyesa@hanmail.net
Copyright ⓒ 2017 SSANGGYESA.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
대한불교조계종
출가
템플스테이
쌍계사 다음 카페